가난하고 여자라 못 배웠던 한글 '87세'에 깨쳐 시인으로 활동했던 박금분 할머니 별세

인사이트

박금분 할머니와 자작시 '가는 꿈'. 칠곡군 제공


[뉴시스] 박홍식 기자 = "먹고 싶은 것도 없다. 하고 싶은 것도 없다. 갈 때 곱게 잘 가는 게 꿈이다."


경북 칠곡에서 87세에 한글을 깨쳐 시를 쓰고 영화에도 출연해 감동과 공감을 선사한 박금분 할머니가 9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최고령 '칠곡할매시인'인 박 할머니는 자신이 쓴 시 '가는 꿈'에서 간절하게 소망했던 것처럼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곱게 영면에 들어 6일 발인식이 엄수됐다.


인사이트

박금분 할머니와 자작시 '가는 꿈'. 칠곡군 제공


김재욱 칠곡군수는 7일 장례식장을 찾아 박 할머니의 시를 인용하며 "어머님께서 편안하고 곱게 소천하셨기를 바란다"며 유족들을 위로했다.


할머니는 일제 강점기와 가난, 여자라는 이유로 학교에 다니지 못하다가 구순을 바라보는 2015년이 되어서야 칠곡군이 운영하는 약목면 복성리 배움학교에서 한글을 배우기 시작했다.


알렉상드르 푸시킨의 시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를 통째로 외우고 집안을 한글 공부한 종이로 가득 덮을 만큼 배움을 향한 열정이 컸다.

<저작권자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