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16℃ 서울
  • 8 8℃ 인천
  • 16 16℃ 춘천
  • 15 15℃ 강릉
  • 16 16℃ 수원
  • 13 13℃ 청주
  • 13 13℃ 대전
  • 11 11℃ 전주
  • 13 13℃ 광주
  • 16 16℃ 대구
  • 18 18℃ 부산
  • 16 16℃ 제주

"카카오페이 주가 박살나도 직원은 '복지파티'.." 블라인드에 올라온 처우 보면 놀랍니다

주가가 네토막 난 카카오페이 투자자들이 직원들에 대한 복지 수준을 보고 분노를 터뜨리고 있다.

인사이트사진=카카오페이


[인사이트] 전준강 기자 = 카카오 계열사 카카오페이에 입사한 직원이라면 모두 받을 수 있는 '복지 수준'이 전해졌다.


복지를 총망라해 하나하나 세분화해 '자랑한' 이 글은 직장인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처음 올라왔다.


좋은 복지 정책을 가진 회사 입사를 꿈꾸는 이들이 많은 덕분에 이 자랑글은 최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와 각종 SNS로 퍼져나갔다. 사람들은 "난 이 복지가 마음에 드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인사이트


인사이트카카오페이 사내 카페 / 카카오페이 블로그


3년마다 1개월씩 '유급' 리프레시 휴가를 주면서 200만원의 휴가비를 준다는 점과 전세/매매 대출을 받은 직원을 위해 이자를 지원해 준다는 점 그리고 사내 매점에서 편의점의 20~30% 수준 가격으로 간식을 사 먹을 수 있다는 점에 찬사가 쏟아졌다.


매년 식비 240만원과 복지포인트 360만원·명절 상여금 60만원을 지원해 준다는 점도 부러운 복지로 꼽혔다. 본인 결혼, 부모님 환갑/칠순 등에도 50만원 가량 지원금이 나와 좋다는 반응도 있었다.


이 밖에도 리조트 할인, 사내 카페, 자기계발 도서 구입 지원, 사내에 전속 안마사 대기, 안마의자 등을 선호한다는 이들도 있었다.


인사이트카카오 판교 신사옥 / 뉴스1


"역시 카카오 계열사"라는 반응이 나왔다. 카카오 계열사 들어가면 절대 후회는 안 한다는 게 공통적인 반응이었다. 취준생들이 가고 싶은 회사 1위를 기록하는 이유가 있다는 반응이 많았다.


그런데 이 글을 보고 부글부글 마음이 끓는다는 분노하는 이들도 있었다. 자신의 회사는 이런 게 없다고 한탄하는 이들이 아니었다. 바로 주주들이었다.


카카오페이 주주들은 "회사도 적자고, 주식도 최고점에서 거의 네 토막이 났는데 이게 말이 되냐"라고 울분을 터뜨렸다.


인사이트트레이딩뷰


실제 카카오페이 주가는 지난해 11월 24만 8,500원까지 치솟으며 "30만원 간다"는 이야기가 나온 뒤 거짓말처럼 폭락을 거듭하고 있다.


어느새 최고점 대비 약 25% 수준인 6만 2천원대까지 떨어졌다. 지난 6월에는 5만 8,900원까지 하락하며 투자자들을 좌절케 하기도 했다.


뚜렷한 반등도 하지 못해 10만원은커녕 8만원도 채 넘지 못하는 상황을 반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주식 게시판에는 연일 카카오페이를 규탄하는 투자자들의 글이 올라오는 상황이다.


투자자들은 "회사가 적자인데 흑자 전환할 생각은 안 하고 이게 뭐냐"라고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인사이트네이버


실제 금융감독원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2022년 상반기 반기보고서를 보면 2022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영업이익은 '손실'로 잡혀 있다. 적자 금액은 약 125억원이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카카오페이의 적자는 약 272억원이었다. 2020년 한 해는 약 179억원이었고 2019년 한 해는 약 65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주주들은 "직원의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복지 정책도 좋지만 주주들의 이익·권리도 그만큼 보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인사이트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편 카카오페이는 오는 10월부터 카카오페이손해보험 영업을 본격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 손해보험으로 최대한 비용을 줄인 뒤 이익을 도모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보험사 설립으로 종합금융플랫폼 구축을 위한 마지막 단추를 채웠다는 반응이 나오는 가운데, 적자에 시달리는 카카오페이가 흑자로 전환해 이익을 거둘지 관심이 모인다. 


인사이트카카오페이 신원근 대표 / 뉴스1